베품에는 세 종류가 있다. 아까와하며 베푸는 것. 의무적으로 베푸는 것. 감사함으로 베푸는 것이다. > 연안이씨 뿌리 > 연안이씨의 위상

판사공파 석균일가님 작성


   

명문가(名門家)란 시대에 따라 평가기준이 다르겠지만 조선시대(朝鮮時代)에는 한사람의 특출한 인물을 배출 했다고 되는것이 아니고 벼슬이 대대로 이어지고 학문이 깊은 대제학(大提學)등 문형(文衡)과 도덕성이 높은 청백리(淸白吏)가 많이 나와야 하고 역신(逆臣)이나 탐관오리가 없어야 했다.
연안리씨(延安李氏)는 조선시대(朝鮮時代) 정1품(正一品)까지 오른분이 24인 그 중에서 부원군(府院君) 5인 상신(相臣) 9인이 나왔으며 대제학(大提學) 7인 판서(判書) 54인 공신(功臣) 10인 청백리(淸白吏)
7인 문장가(文章家) 5인 기사(耆社)에 든 분이 21인 종묘배향(宗廟配享) 2인 호당(湖堂) 10인 문과(文科) 급제자 256인을 배출하고 명문가(名門家)하면 연리광김(延李光金:延安李氏와光山金氏)이라 하여 양반가문(兩班家門) 중에서도 첫쨰로 꼽힌 문벌(門閥) 이다.
시조(始祖) 리무(李茂)장군은 중국(中國) 5호16국(五胡十六國)시대 서량(西凉)을 세운 무소왕(武昭王:李暠)의 후손으로서 서기(西紀) 660년 당(唐) 고종(高宗) 현경(顯慶) 5년 신라원군(新羅援軍)의 장수(將帥)로 참전(參戰)하여 백제(百濟)와 고구려(高句麗)를 정복(征服) 하는데 공(功)을 세워 중랑장(中郞將)에 오르고 시염성( 鹽城) 을 유수(留守)하였다. 나당화합(羅唐和合)과 신라(新羅)가 삼국통일(三國統一)을 이룩하는데 기여한 공(功)으로 김유신(金庾信)장군의 주청(奏請)에 의하여 문무왕(文武王)께서는 리무(李茂)장군에게 시염성( 鹽城)을 식읍(食邑)으로 주고 높은 벼슬을 제의했으나 극구 사양하므로 국빈(國賓)으로 예우(禮遇)하셨다 한다. 그때 당(唐) 나라에서는 측천무후(則天武后)가 섭정 국정(國政)을 어지럽히던 때이므로 리무(李茂) 장군은 본국(本國)인 당(唐)나라로 귀국하지 않고 신라(新羅)에 머무르게 되었다.
고려(高麗)때 부터 성씨(姓氏)의 본관(本貫)이 사용됨에 따라 후손(後孫)들이 시조(始祖)의 식읍(食邑)이었던 염주(鹽州: 鹽城의 高麗때 명칭)를 관향(貫鄕)으로 삼아 염주리씨(鹽州李氏)로 하였다가 충선왕(忠宣王)때 연안(延安)으로 개칭(改稱)됨으로 연안리씨(延安李氏)로 바뀌었다. 여러파로 분파(分派)되었다 하나 현재는 판사공파(判事公派) 첨사공파(詹事公派) 대장군공파(大將軍公派) 부사공파(副使公派)등 4파만 전해내려 오고 있다.
고려사(高麗史)에 기록되어 있는 인물로는 대장군(大將軍) 송(松)의 아들인 위사공신(衛社功臣) 분희(汾禧)와 습( )형제 연안군(延安君) 엄(儼)과 연성군(延城君) 오원부원군(五原府原君)에 오른 권(權) 그리고 안변부사와 전법판서(典法判書)를 지낸 방(昉)이 있다.

판사공파(判事公派)에서는 고려(高麗) 의종(毅宗)때에 소부감(少府監)의 판사(判事)인 판소부감사(判少府監事)를 지내고 송(宋) 금(金) 양국에 사신(使臣)으로 다녀온 현려(賢呂) 그의 아들인 태의감(太醫監) 의정동정(醫正同正)을 지낸 영군(暎君)과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안군(顔君) 형제가 있고 상사국(尙舍局) 직장동정(直長同正)에 오른 인부 (寅富) 군기감(軍器監) 주부(注簿)를 지낸 원규(原珪)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낸 효신(孝臣) 사복시정(司僕寺正)을 지내고 병조판서(兵曹判書)에 추증된 광(匡) 호조전서(戶曹典書)를 지낸 종실(宗實) 서운관부정(書雲觀副正)을 지낸 종미(宗美) 조선(朝鮮) 태조(太祖)때 공조전서(工曹典書)를 지내고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된 종무(宗茂)등 3형제와 공조전서를 지낸 제경(齊卿) 태종(太宗)때 대호군을 지내고 좌의정(左議政)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에 추증된 회림(懷林)이 있다
판사공파(判事公派)의 중흥조(中興祖)인 석형(石亨) 그는 세종(世宗)때 과거시험(科擧試驗)이 생긴 이래 처음으로 생원(生員) 진사(進士) 문과(文科)를 모두 장원(壯元)으로 급제하고 호당(湖堂)에 뽑히고 집현전 학사로서 저헌집(樗軒集) 완산별곡(完山別曲) 대학연의즙략(大學衍義輯略)등을 저술하고 치평요람(治平要覽) 고려사(高麗史) 역대병요(歷代兵要) 황화집(皇華集)등의 편찬에 참여 했다. 판공주목사 수문전 제학 전라 황해 경기도 관찰사 개성부 유수를 거쳐 대사헌 형조 호조참판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팔도도체찰사(八道都體察使) 지성균관사(知成均館事) 오위도총부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역임하고 성종(成宗)때 좌리공신(佐理功臣)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에 봉해지고 항상 청렴한 생활과 학자로써 성균관(成均館)에서 후진 양성에 힘을 쏟았고 연안리씨(延安李氏)를 중흥(中興)시킨 명신(名臣) 이었다. 사헌부 장령과 성균관 사예를 지내고 이조판서에 추증된 혼(渾) 사화(士禍)를 피해 은둔생활을 하다 대호군에 오르고 이조판서에 추증된 수장(壽長) 대호군에 오른 명장(命長) 복장(福長) 효장(孝長)과 동지중추부사에 오르고 영의정에 추증된 순장(順長) 첨지중추부사겸 오위장을 역임한 경장(敬長)등 6형제가 있고 수장(壽長)의 아들인 기( )가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서 광주목사(廣州牧使) 첨지중추부사등을 역임하고 좌찬성에 추증 되었다.
판사공파(判事公派)는 인조(仁祖)때에 이르러 정구(廷龜)와 귀(貴)를 배출 하면서 조선시대 말엽까지 찬란한 문중(門中)의 전성시대(全盛時代)를 맞는다. 정구(廷龜)는 우리 역사상 손꼽히는 한문학(漢文學)의 대가(大家 )로서 그는 선조(宣祖)때 대제학(大提學)을 거쳐 인조(仁祖)때 좌의정까지 올랐으며 명(明)나라 까지 명성을 떨쳤다. 또 그의 아들 명한(明漢)이 대제학과 이조판서를 소한(昭漢)이 형조참판등을 역임하고 좌의정에 추증 되었으며 문장과 글씨가 뛰어나 아버지,형(兄) 명한(明漢)과 함께 송(宋)나라의 삼소(三蘇:蘇詢,軾(東坡),轍 三父子)와 비교 되고 명한(明漢)의 아들 일상(一相)이 대제학 예조판서등을 역임하고 우의정에 추증되었으며 3대(三代) 대제학(大提學)을 배출 가문(家門)의 명예를 더욱 빛냈다. 또 부제학을 지내고 이조판서에 추증된 단상(端相)과 이조참판을 지내고 좌찬성에 추증된 희조(喜朝) 부자(父子)가 성리학자로서 유명하다. 소한(昭漢)의 아들인 은상(殷相)이 형조판서를 익상(翊相)이 이조판서를 역임했다.
귀(貴)는 학자의 집안인 연안리씨(延安李氏)의 번영을 정치적으로 뒷받침 명실공히 명문(名門)의 위치에 올려놓은 인물이다. 그는 광해군(光海君)의 난정(亂政)을 보다못해 아들 및 김류(金 ) 최명길(崔鳴吉)등 동지들과 인조반정(仁祖反正)을 주도하여 쓰러져가는 사직을 바로 세웠고 이조판서 좌찬성등을 역임하고 정사공신(靖社功臣)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에 봉해지고 영의정에 추증 되었으며 종묘(宗廟) 인조묘정(仁祖廟庭)에 배향 되었다. 그의 아들인 영의정 정사공신(靖社功臣) 연양부원군(延陽府院君) 청백리(淸白吏)에 오른 시백(時白) 충주목사 동지중추부사에 오르고 병조판서에 추증된 시담(時聃) 호조 형조 공조판서와 판의금부사등을 역임하고 정사공신(靖社功臣) 연성군(延城君)에 봉해지고 영의정 연성부원군에 추증된 시방(時昉)등 3형제와 홀로되어 여승(女僧)이 된 그의 딸도 광해군이 총애하던 김상궁(金尙宮)의 수양딸로 궁중에 출입하면서 아버지를 도와 반정(反正)을 성공시키는데 큰 공을 세웠다. 또 대대로 10대나 봉군(封君)에 올라 10대(十代) 봉군(封君)집이란 영예를 얻었다. 시방(時昉)의 아들인 관(慣)이 공조참판과 총융사를 역임했다. 병자호란때 강화(江華)가 함락되자 순절한 충신 시직(時稷)이 강화(江華) 충렬사(忠烈祠)와 대전(大田) 숭현서원(崇賢書院) 용인 충렬서원(忠烈書院)에 배향 되었다.
정신(正臣)이 호조참판을 지내고 영의정에 추증 되었고 그의 아들인 철보(喆輔)가 이조판서를 역임하고 영의정에 추증 되었으며 손자 복원(福源)이 대제학 및 좌의정을 지내고 복원(福源)의 아들인 시수(時秀)가 영의정이 되고 종묘(宗廟) 순조묘정(純祖廟庭)에 배향되었고 또 만수(晩秀)가 6조판서 및 대제학 판중추부사를 지내 부자(父子) 정승(政丞)과 부자(父子) 대제학(大提學)을 배출하여 3대(三代) 대제학(大提學)과 부자(父子) 대제학(大提學)을 배출한 가문으로도 명성을 떨쳤다. 또 철보(喆輔)의 동생 길보(吉輔)가 공조판서를 역임하고 영의정에 추증 되었고 길보(吉輔)의 아들 성원(性源)이 좌의정을 지내고 증손(曾孫) 약우(若愚)가 이조판서와 판돈녕부사를 지내고 청녕군(淸寧君)에 봉해지고 현손(玄孫) 순익(淳翼)이 이조판서를 역임했다. 호조참판에 오르고 좌찬성에 추증된 우신(雨臣) 그의 아들인 정보(鼎輔)가 대제학(大提學)과 예조판서 판중추부사를 역임하고 특히 시조(時調)를 잘 지어 정철(鄭澈) 윤선도(尹善道)와 함께 시조(時調)의 3대가(三大家)로 일컬어지고 정보(鼎輔)의 동생 익보(益輔)가 이조판서와 판돈녕부사를 지냈다.
명희(命熙)가 호조참판과 연원군(延原君)에 봉해지고 영의정 연원부원군에 추증 되었고 그의 아들인 유(瑜)가 이조판서와 연릉군(延陵君)에 또 후( )가 좌의정을 지냈다. 천보(天輔)가 영의정을 지내고 좌의정 후( ) 우의정 민백상(閔百祥)과 함께 사도세자(思悼世子)의 평양원유사건(平壤遠遊事件)에 책임을 지고 음독 자결한 충신들이다. 천보(天輔)의 아들 문원(文源)이 병조 이조판서 판의금부사를 역임하고 영의정에 추증 되었으며 또 손자 재수(在秀) )가 경상도 관찰사를 존수(存秀)가 6조판서 및 좌의정을 지내고 시문(詩文)에도 조예가 깊었고 우수(友秀)가 형조참판을 지냈다. 민보(敏輔)가 형조판서와 판돈녕부사를 지내고 영의정에 추증 되었으며 그의 아들인 시원(始源)이 이조판서를 손자 학수(鶴秀)가 이조판서 및 판돈녕부사를 증손 면우(勉愚)가 이조참판을 역임하고 또 조원(肇源)이 6조판서를 손자 용수(龍秀)가 형조판서를 증손 종우(鍾愚)가 이조판서와 판의금부사를 지내고 글씨를 잘 써 그가 쓴 글씨체를 석농체(石農體)라 한다. 현손 교익(喬翼)이 예조판서를 역임해 내리 5대나 판서를 지내고 또 현손 현익(玄翼)이 예조판서를 역임했다.
이조판서 판중추부사 청백리에 오른 명식(命植)이 있으며 그의 아들 면응(冕膺)이 예조판서를 지냈다. 심원(心源)이 대사헌을 조원(祖源)이 예조판서를 갑( )이 이조판서 및 연풍군(延豊君)에 봉해지고 직보(直輔)가 이조판서 조승(祖承)이 예조판서 가우(嘉愚)가 한성판윤을 10번이나 역임하여 판윤대감으로 명성을 떨치고 이조판서및 판의금부사를 지냈다.
풍익(豊翼)이 이조판서와 판돈녕부사를 그의 아들 세재(世宰)가 예조판서를 역임했다. 형조판서에 오른 공익(公翼)이 있으며 그의 아들 명재(命宰)가 이조참판을 지냈다. 준(儁)이 공조참판을 역임하고 조연(祖淵)이 예조참판을 지내고 좌찬성에 추증 되었고 갑신정변때 사대당(事大黨 )의 거물(巨物 )로 지목되어 개화당(開化黨)에 의해 피살 되었고 도재(道宰)가 6부대신과 찬정대신(贊政大臣)을 역임했다.
판사공파(判事公派)에서는 조선시대 정1품까지 오른 분이 20인 그 중에서 부원군(府院君) 3인 상신(相臣) 8인이 나왔으며 대제학(大提學) 6인 판서(判書) 42인 공신(功臣) 4인 청백리(淸白吏) 2인 기사(耆社)에 든 분이 14인 종묘배향(宗廟配享) 2인 문장가(文章家) 4인을 배출해 연안리씨(延安李氏)를 명문가(名門家)로 올려놓는데 큰 몫을 하였다. 이 파(派)는 황해도 연안 서흥 봉산 금천 함남 안변 서울특별시 경기도 용인 고양 양주 포천 가평 개성 충남 공주 논산 부여 예산 홍성 보령 당진 서산 충북 보은 청원 괴산 전북 익산 강원도 홍천 통천 회양 평남 용강 성천 강동 중화 덕천등지에 많이 살고 있다.

첨사공파(詹事公派)에서는 고려(高麗) 고종(高宗)때에 검교태자첨사(檢校太子詹事)에 오른 습홍(襲洪)이 있고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낸 경무(景茂) 전공판서(典工判書)를 지낸 원발(元發)과 그의 아들인 조선(朝鮮) 태조(太祖)로 부터 태종(太宗)때까지 병조판서를 거쳐 좌의정으로 치사(致仕)한 귀령(貴齡)과 경상도 관찰사와 호조판서에 오른 귀산(貴山) 형제가 있고 중종반정(中宗反正)때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서 이조참의 오위장 연성군(延城君)에 오른 곤(坤)이 있고 효자(孝子) 지남(至男)의 집은 어머니 본인 아내 아들 딸 손자 손부등 8명이 정문(旌門)을 받아 8정문(八旌門) 집으로 널리 알려졌는데 뒤에 5명이 정문을 더 받아 13정문집으로 더욱 유명하게 되었다. 또 지남(至男)의 아들 기설(基卨)과 증손 후정(后定)이 청백리에 선정되었고 기설(基卨)의 아들 돈오(惇五)와 돈서(惇敍) 형제가 병자호란(丙子胡亂)이 일어나자 강화(江華)에 침입한 적군과 싸우다 순절 강화 충렬사(忠烈祠)에 배향 되었다
이조판서 호성공신(扈聖功臣) 연원부원군(延原府院君)청백리에 오른 광정(光庭)과 그의 동생인 함경도 관찰사를 지낸 창정(昌庭)이 있고 홍로(弘老)가 경기도 관찰사를 역임했다. 광정(光庭)의 아들 현( )이 평안도 관찰사 연안군(延安君)에 봉해지고 좌참찬에 추증 되었고 손자 성징(星徵)이 황해도 관찰사를 역임했다. 창정(昌庭)의 손자인 관징(觀徵)이 이조판서와 판중추부사를 지내고 또 봉징(鳳徵)이 형조참판을 역임하고 관징(觀徵)의 아들 옥(沃)이 호조참판을 지냈다. 식(湜)이 황해 전라 강원도 관찰사를 지내고 만원(萬元)이 공조참판 평안도 관찰사를 역임하고 연릉군(延陵君)에 봉해지고 조카 지억(之億)이 형조 공조 예조판서에 오르고 만회(萬恢)가 병조참판을 역임했다. 항일운동(抗日運動)에 앞장서고 상해(上海) 임시정부(臨時政府) 초대(初代) 의정원(議政院) 의장(議長) 주석(主席)등을 역임한 동녕(東寧)이 독립운동사에 길이 빛난다
첨사공파(詹事公派)에서는 조선시대 부원군 1인 상신 1인 정일품까지 오른분이 3인 판서 5인 공신 2인
청백리 3인을 배출했다. 이 파(派)는 함남 안변 전북 완주 경기도 용인 파주 김포 강화 안산 충북 청원 경남 거창 강원 이천등지에 많이 살고 있다

대장군공파(大將軍公派)에서는 고려(高麗) 고종(高宗)때 대장군(大將軍)을 역임한 송(松)이 있고 그의 아들인 분희(汾禧)와 습( .初名:汾成)이 원종(元宗)의 총애를 받아 분희(汾禧)가 위사공신(衛社功臣)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에 습( )이 지신사(知申事)를 역임했다. 이 파(派)는 함남 정평 함흥 등지에 많이 살고 있다.

부사공파(副使公派)에서는 고려(高麗) 공민왕(恭愍王)때 통례문 부사에 오른 지(漬)와 그의 아들인 계손(係孫)이 공조전서를 역임하고 손자 즐( )이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삼사좌사(三司左使)를 지냈다. 조선시대(朝鮮時代)에 들어와서 공조 예조참판을 역임하고 병조판서와 연천군(延川君)에 추증된 보정(補丁)과 그의 아들 숭원(崇元)이 이조 병조판서와 좌리공신(佐理功臣) 연원군(延原君)에 봉해지고 청백리에 올랐다.
이시애(李施愛)의 난(亂)과 여진족(女眞族)을 토벌하고 적개공신(敵愾功臣)과 좌리공신(佐理功臣)등 2번의 공신(功臣)과 호조판서 연안군(延安君)에 오른 숙기(淑琦)와 이조참판을 역임한 숙함(淑 )형제가 있다. 숙기(淑琦)의 증손(曾孫) 우민(友閔)이 예조참판을 지내고 그의 동생 호민(好閔)은 임진왜란 당시 외교적 수완을 발휘하여 명(明)나라 원병(援兵)을 끌어 드리는데 큰 공을 세웠으며 외교 문서를 도맡아 기초하는등 문장에도 뛰어나고 조복(朝服)으로 삼베옷을 항상 입고 다닐만큼 청렴한 학자였다. 대제학 예조판서 좌찬성을 역임하고 호성공신(扈聖功臣) 연릉부원군(延陵府院君)에 봉해졌다. 호민(好閔)의 아들 경엄(景嚴)이 판한성부윤을 지내고 연천군(延川君)에 봉해지고 조카 경의(景義)가 이조참판이 되었고 문장으로도 이름을 떨쳤다.
숙함(淑 )의 증손(曾孫) 후백(後白)은 호조,이조판서등 요직을 두루 거친후 광국공신(光國功臣) 연양군(延陽君) 청백리에 오르고 좌찬성에 추증 되었고 문장에도 뛰어났다. 또 그의 손자 유길(有吉)이 광해군(光海君)때 명(明)나라 원군(援軍)으로 가서 후금(後金)과 싸우다 순절 충신 정려를 받았다. 형조판서를 지낸 정운(鼎運)과 예조판서를 지낸 익운(益運)형제가 있고 정운(鼎運)의 아들 명적(明迪)이 이조판서를 역임했다.
부사공파(副使公派)에서는 조선시대 부원군 1인 대제학 1인 판서 7인 공신 4인 청백리 2인을 배출했다. 이 파(派)는 경기도 양평, 경북 김천 군위, 경남 거창 전남 해남 강진, 충남 아산등지에 많이 살고 있다.

Last Update 2003. 11. 02.